수술할까?(의료광고)

이마거상 추미근 절제 부작용??

AltioraPetamus 2021. 11. 23. 16:20

이마거상 할때 꼭 해야하는 것 중에 하나인 추미근 절제

이것이 부작용을 일으키지는 않을까?

부작용 때문에 추미근 절제 하지 말라고 하는 케이스도 많습니다.

해야지만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과는 달리 해서 부작용이 생기게 된다는 것까지

어느 기준에 맞춰서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다면, 이제 확인해보세요.

먼저 추미근에 대한 것을 알아봅니다.

추미근음 표정근육이라고 하고, 인상 근육이라고도 불리는 것입니다.

미간근육을 만드는 근육이면서 눈썹을 내려주는 근육입니다.

세로 주름을 만드는 주름이라고도 하죠.

전두근: 이마에 수직으로 위치, 눈썹을 위로 올리는 작용. 따라서 눈을 치켜뜨면 전두근의 작용으로 이마에 수평 주름 발생. 전두근 억제가 아닌 눈썹을 아래로 내려주는 근육을 잘라 전두근의 사용을 줄여주는 것

이것이 이마거상 주 원리입니다.

전두근 속 깊이 있는 추미근(미간근육): 눈썹을 끌어내린다 (내측 아래 방향으로) 이마에 세로 주름을 짓게 한다.

이 부분을 개선시켜주는 것입니다.

 

 

이마거상 후 제대로 수술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 추미근을 끊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라고 하죠.

표정으로 지어 보면 알 수 있어서 해보라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추미근 부작용은 어떻게 일어날까요?

표정이 어색해집니다.

추미근 절제를 해야지만 좋다고 해서 이걸 다 끊어버리면 안 됩니다.

그렇게 되면 표정이 지어지지 않으며, 불편함을 유발합니다.

이 불편함 때문에 제거를 아예 안 하는 경우도 있는제, 제거를 안 해야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해야합니다.

부작용이 나타나는 건 근육 사이로 지나가는 신경과 혈관에 손상을 주기 때문인데,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근육만 정확히 잘라주는 것이 난이도가 높다고 하는 것입니다.

잘못 해놓고 이마거상 할때 추미근 절제 하지 말라고 하는 건가요?

이때 절제 하는 추미근의 양은 대략 70~80%정도입니다. 

수술을 한 후에도 자연스럽게 표정을 낼 수 있는 건 남아있는 20~30%정도의 근육이며, 어색하지 않게 수술 후 표정을 얼마든지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것은 강한 인상을 졌을때 뿐입니다. 인상을 강하게 지어서 미간주름을 만드는 것을 못하게 하는 것이 이마거상 하면서 변화게 되는 추미근의 변화입니다.

 

 

절제 하는 것을 부작용이라고 하기 전에, 수술의 원리를 제대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이마거상 하는 방법이 많다보니 어떤 것을 선택해야할지 모를 경우가 있습니다.

수술 후 얻어야 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부작용이 생긴다면 왜 생기는지,

어디를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알고 하시는 게 어떨까요?

효과가 없다고 하는 것도 그렇고, 부작용이 없다고 하는 것들의 공통점은 결국 수술이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 몰랐을때 나타나는 경향이 큽니다.